역류성 식도염 있다면… "피해야 할 음식 vs 도움 되는 음식"
- 기자명 김진우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 입력 2025.11.21 19:00

식후, 가슴 안쪽이 타는 듯한 작열감이나 신물이 넘어오는 것은 ‘위식도역류질환(GERD)’의 대표적 증상이다. 이 질환은 위와 식도의 경계에서 문지기 역할을 하는 ‘하부식도괄약근’의 조절 기능이 약화되어, 위산이나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며 발생한다.
약물 치료는 증상을 완화하고 식도 점막의 손상을 회복시키는 데 효과적이지만, 식습관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재발 빈도가 높다. 따라서 장기적인 질환 관리를 위해서는 매일 섭취하는 음식이 위장관 운동과 위산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식습관을 근본적으로 교정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괄약근 기능 저하의 주범, '고지방' 식품
소화기계는 해부학적으로 위장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방어 기전을 갖추고 있다. 식도와 위가 만나는 부위에 위치한 하부식도괄약근이 조임근 역할을 수행하며 위산의 역류를 막아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특정 식이 요인은 이 근육의 압력을 낮추어 기능을 약화시킬 수 있다. 괄약근의 결속력이 약해지면 강한 산성(pH 1~2)을 띠는 위산과 소화 효소가 식도 점막을 자극하게 되며, 이는 속쓰림, 연하 곤란, 구강 내 쓴맛 등 위식도 역류 질환의 전형적인 증상으로 이어진다.
특히 주의해야 할 것은 고지방 식품이다. 가공육(베이컨, 소시지), 튀김, 기름진 육류 등 지방 함량이 높은 음식은 소화 속도를 늦춰 위장 내 음식물 체류 시간을 늘린다. 영양사 베스 서워니(Beth Czerwony)는 건강 매체 '클리블랜드 클리닉(Cleveland Clinic)'을 통해 “기름진 음식 섭취로 인해 위 배출이 지연되면 위산 분비량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위 내부 압력이 높아져 역류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된다”고 설명했다.
식품의 성분 또한 중요하다. 위 점막을 직접적으로 자극하거나 하부식도괄약근을 이완시키는 식품은 섭취를 주의해야 한다.
● 점막 자극 식품: 감귤류(오렌지, 자몽 등), 토마토 기반 소스, 매운 음식의 캡사이신 성분은 식도 점막에 직접적인 화학적 자극을 줄 수 있다.
● 괄약근 이완 식품: 커피, 초콜릿, 알코올, 탄산음료 등은 하부식도괄약근의 긴장도를 떨어뜨려 역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튀기는 대신 굽거나 삶아야… 통곡물∙비(非)감귤류 과일이 도움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위장에 가해지는 물리적·화학적 부담을 줄이는 식단을 구성해야 한다. 육류는 지방이 적은 닭고기나 생선, 돼지고기 안심 부위를 선택하고, 튀기기보다는 굽거나 삶는 조리법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현미, 귀리 등 통곡물과 채소에 풍부한 식이섬유는 위장 운동을 돕고 원활한 위 배출을 유도하여 역류 위험을 낮추는 데 기여한다. 과일의 경우 산도가 낮아 자극이 덜한 바나나나 멜론 등을 선택하고, 우유는 고지방보다는 저지방 제품을 섭취하는 것이 권장된다.
생활 습관 교정과 '식사 일지' 활용
식재료의 선택 못지않게 섭취 방식과 생활 습관의 교정도 중요하다. 과식은 위 내부 용적을 팽창시켜 물리적 역류를 유발하므로 소량씩 자주 섭취하는 식습관이 유리하다. 특히 식사 직후 눕는 행위는 중력에 의한 자연스러운 역류 억제 효과를 상쇄시키므로, 식후 최소 2~3시간은 좌식 상태를 유지하거나 가볍게 산책하는 것이 좋다.
개인마다 증상을 유발하는 식품(Trigger Food)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해 베스 서워니는 “모든 환자에게 동일한 음식이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식사 일지를 기록해 섭취한 음식과 통증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고, 자신에게 맞지 않는 식품을 선별적으로 제한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관리법”이라고 조언한다.
